본문 바로가기
대학원/2학기

[스포츠손상] 8주차: 아킬레스 부위 통증

by 하이연지 2025. 4. 7.
반응형

스포츠 손상의 응급처치 및 재활실습 수업 8주차 때는 아킬레스 부위 통증에 대해 배웠습니다. 
 

 

아킬레스건의 해부학적 특징

 
Gastrocnemius + soleus muscla
가장 두껍고 강력한 건으로 건의 앞면은 지방체(fat ped)에 의해 지지
달리는 동안 5~7배의 체중 부하, 한발 착지하는 동안 7.3배의 체중 부하
 

아킬레스 신체 검사 

관찰, 기능 검사, 운동, 촉친, 특수 검사
설문지 VISA - A
 

중간부 아킬레스 건병증

관련 위험 요인: 상대적 건의 과부하가 주요 유발 요인
건병증의 치료: 부하용량/부하내성/운동을 통해 70%의 단기간과 장기간 회복 -> concentric + eccentric 효과적
통증 완화, 등척성 운동 -> 적절한 등장성 운동 -> 에너지 저장 운동 -> 에너지 저장 및 방출 운동 -> 훈련 및 시합으로 복귀 
 

부착부 아킬레스 건병증과 후종골 활액낭염  

히글룬드 병(Haglund 변형)
종골 후, 상부 모서리의 돌출
대부분은 무증상이지만, 때로는 건이 종골에 압축되는 지점에서건병증을 유발할 수 있음
 

아킬레스 활액낭염(Achilles bursitis)

뒤꿈치가 너무 조이거나 큰 신발, 딱딱한 부츠(스케이트 신발) X
마찰을 줄여야 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 
 

후방충돌 증후군(Posterial impingement syndrome)

경골의 후방과 종골의 상부 사이에서연부조직 또는 뼈가 충돌하는 것
 

아킬레스 부위 통증의 다른 원인들

Sever's disease = calcaneal apophysitis(종골 골단염) -> 부하 줄이고 치료, 재활, 휴식
 

급성 아킬레스건 완전 파열과 재활

Acute Achilles tendon rupture - 주로 스포츠 활동을 하는 30~40대 남성에게 나타나고 남자 여자 10:1 비율로 발생
(Achilles tendon total rupture score(ATRS))
 
Achilles tendon repair의 재활
: 아킬레스건의 점진적인 로딩 프로그램, 다양한 운동의 연결성, 달리기나 점프 같은 강도 높은 운동의 시작 타이밍
 
환자들은 수술후 6~8w 동안 아킬레스에 부하를 주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 고찰에 따르면 보조기를 착용하고 간단한 조기 재활을 시행하는 것이 더 개선된 결과를 나타낸다.
(지속적인 관찰 근력 평가, 사람마다 선수마다 양상은 매우 달라질 수 있다.)
 
조깅 vs 러닝
 
조깅 시속 6~9.6km(4~6마일)pace(1km/6m) 정도로 천천히 뛰는 것.
편안한 속도로 목적이 없는 대화가 자연스럽게가능한 저당도~중강도
 
러닝 1마일 당 10분 페이스 또는 5k 레이스의 경우 30분 이내, 일반적으로 달리기로 간주
-> 누군가에겐 16km/14분이 달리기처럼 느껴질 수도(pace가 주관적일 수도 있음) 중, 고강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