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2학기

[스포츠손상] 4주차: 스포츠 응급처치

by 하이연지 2024. 10. 13.
반응형

스포츠 손상 응급처치 및 재활실습 4주 차 수업 때는 스포츠 응급처치에 대해 배웠습니다. 

반응형

 

[스포츠손상] 4주차: 스포츠 응급처치

 

응급처치

최초 목격자에 의한 낮은 "심폐소생술 시행"

위급 상황 시 행동하지 못하는 이유: 시선, 불확실성, 질병 및 감염, 악화 또는 법적인 책임

 

응급의료종사자가 아닌 사람 중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구조 및 응급처치에 관한 교욱을 받도록 명할 수 있다.

 

위급상황에서 행동요령: Check, Call, Care

1. 현장조사: Check

2. 도움요청: Call

3. CARE

초기검사: Initial Check(선수의 반응 정도를 확인합니다.)

반응이 있을 경우 호흡과 맥박을 확인하고 의식이 없는 경우 RAP와 CABD를 실시합니다.

RAP → CABD 처치순서

RAP 순서

R(Responsive): 반응이 있는가?(양쪽 어깨를 두드리며 괜찮으세요?)

A(Activate EMS: emergency medical services): 응급의료 체계의 활성화(119)

P(Position): 자세 교정(척추 부상이 의심되는 경우와 호흡은 있지만 반응이 없는 환자)

 

CABD 순서

C(CPR&Severe Bleeding): 심폐소생술&심각한 출혈

A(Airway open): 기도 개방(cf. 하악견인법, 전문가)

B(Breathing): 구조호흡(손으로 입안의 이물질 제거)

D(Defibrillation): 제세동(AED 도착 전, CPR을 실시)

recovery position: 환자를 눕혀 회복자세를  만든다.

 

* 응급처치 시 주의사항

인공호흡 시에는 Face shield or Pocket mask를 사용한다. 

처치에 사용된 폐기물은 감염성 폐기물 처리 원칙에 의해 처리해야 한다.    

호흡계&순환계

지구성 종목 선수는 좌심실 챔버 사이즈가 증가하는 편심성 좌심실 비대

저항성 종목 선수는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동심성 심실비대  

 

35세 이하의 선수 중 급사의 40% 이상이 비후성 심근병증

35세 이상의 선수는 급사의 약 75%가 관상동맥질환입니다. 

 

심정지와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이유:

0분 심장 정지

4분 뇌세포 손상 가능

6분 뇌세포 손상

10분 뇌세포 복구 불능

 

심정지를 경험한 일반인구조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외상 후 스트레스 대비)

심정지가 의심되는 환자에게 일반 구조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