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2학기

[스포츠손상] 3주차: 스포츠 손상의 종류

by 하이연지 2024. 10. 13.
반응형

스포츠 손상의 응급처치 및 재활실습수업 3주 차 때는 스포츠 손상의 종류에 대해 배웠습니다.

반응형

 

[스포츠손상] 3주차: 스포츠 손상의 종류

급성 손상

급성 손상은 기존의 다른 손상 이력과 명확히 구분되는 단일 손상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급성 손상의 초기 관리

PRICE: 보호, 휴식, 얼음 압박, 거상

 

골절

골절은 타박, 충돌 등의 외력이나 근 수축력에 의해 골조직의 결합력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입니다.

골절의 원인 

골절의 원인에는 외상, 병리적 골절, 피로 골절이 있습니다.

 

골절의 분류

포츠 골절, 분쇄 골절, 횡단 골절, 나선 골절, 전위 골절, 콜리스 골절, 부전 골절, 골단 골절, 압박 골절이 있습니다.

 

골절 초기 관리

골절편의 정복되면 골절 부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합니다. 

 

정복: 골절이나 탈구로 어긋난 뼈를 본디로 돌리는 일

ORIF(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관혈적 정복 및 내 고정술.
전위가 있는 골절을 수술을 통해 정복하여 스크류나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체내에서 고정하는 처치를 말합니다. 

 

 

골절 치유 과정

혈종 → 혈종의 기질화 → 간엽세포 → 연골, 미숙골 → 층판골

 

 

급성 손상 

골막 손상: hip pointer

관절 연골: 탈구, 아탈구와 같은 급성전단(shearing) 손상에 의해 발생

 

- 관절 탈구, 아탈구

- 인대 염좌: rice 요법

 

-근육:

근좌상: 1, 2도는 rice 치료

근육파열: 신전 파열, 압박 파열, 전체 파열, 부분 파열

타박상: rice 치료(타박상의 합병증: 골화근육염)

근육 합병증: 골화근육염, 급성구획증후군

근육 경련: 운동 관련 근육 경련(EAMC)

좌상 vs 염좌
좌상: 근육 또는 힘줄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발생하는 근육 손상
염좌: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져 발생하는 인대 손상

골화근육염
근육 내 골화 또는 뼈의 침착과 섬유화를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타박 또는 근육의 손상 후 자주 발생하며, 관절의 가동 제한, 근육의 통증과부기 따위의증상이 나타납니다.   

 

-건: 부분 파열, 완전 파열

-활액낭: 급성 외상성 활액낭염(초기: 얼음찜질과 압박, 말기: 흡인)

흡인: 흡인 작용에 의해서 상기도 내의 분비물, 소화관내 및 체강내의 혈액, 삼출액, 가스 등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방법입니다.  

-신경: 운동 선수의 stinger or burner 손상

-피부: 지혈, 감염 예장, 고정, 파상풍 확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