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포츠 손상의 응급처치 및 재활실습수업 7주 차 때는 두/경부의 스포츠 손상에 대해 배웠습니다.
반응형
뇌진탕
뇌진탕 또는 경미 두부 손상: 뇌 좌상과 달리 해부학적 변화 없는 뇌 손상을 의미
뇌진탕의 증상: 혼란, 기억 상실, 시각 장애, 광과민성, 어지러움, 두통, 구토, 귀울림 등
헤더(헤딩)와 뇌 손상의 관계
의식이 있는 두부 외상 Special test
1. 신경검사(전문의료진 실시)
2. Eye function(반드시 확인)
3. Balance test, Tandem Stance
4. Coordination Tests: 소뇌 손상 의심
5. Cognitive Tests
두부 손상 선수에 대한 처치
뇌진탕 선수는 당일 경기에 복귀할 수없다.
뇌진탕은 장, 단기 합병증을 유발하고 사고, 언어, 감각, 감정에 영향을 준다.
기억, 의사 소통에 지장을 주고 인성 변화, 우울증, 조기치매 등을 유발한다.
뇌진탕의 예방: 위험보상 → 결과적으로 두부 손상 사고율이 오히려 증가한다.
스포츠 뇌진탕 vs 심장마비
SCAT5: 뇌진탕 평가도구
두부 손상이 의심될 때 DR ABC
Danger: 위급한 상황인지 파악
Responce: 의식여부 확인
Airway: 기도 확보
Breathing: 호흡 확인, 인공호흡
Circulation: tnsghks
RED FLAGS
1단계: 적신호 증상
2단계: 관찰되는 증상
3단계: 기억력 검사
4단계-1: 글라스고우 혼수척도
4단계-2: 목뼈(경추) 손상평가
기타 주의사항
'대학원 > 2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손상] 8주차: 아킬레스 부위 통증 (1) | 2025.04.07 |
---|---|
[스포츠손상] 6주차: 과사용 손상 (0) | 2024.10.21 |
[스포츠손상] 5주차: 스포츠 손상 재활 원리 (3) | 2024.10.21 |
[스포츠손상] 4주차: 스포츠 응급처치 (1) | 2024.10.13 |
[스포츠손상] 3주차: 스포츠 손상의 종류 (1) | 2024.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