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재활검사의이해

[재활검사의이해] 4주차: 평가의 기본 원칙

by 하이연지 2024. 4. 8.
반응형

스포츠 재활 검사의 이해 4주차 수업에서는 평가의 기본 원칙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반응형

 

재활검사의이해 3주차: 평가의 기본 원칙

 

1. 스포츠 검사의 필요성

스포츠 재활 검사는 운동 선수가 부상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과정은 선수의 부상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적절한 재활 계획을 수립하여 최적의 회복 경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1. 정확한 진단
2. 재활 과정의 기초 설정
3. 재활 과정 모니터링
4. 안전한 복귀 보장

 

2. 스포츠 재활 검사의 원칙  

SOAP Note
1. Subjective(주관적 정보)
2. Objective(객관적 정보)
3. Assessment(평가)
4. Plan(치료 계획)

 

1. 병력 청취: 병력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진단에 아주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통증, 부종, 불안정성, 기능, 과거력, 다른 손상, 일과 취미활동, 훈련의 과거력, 테크닉

 

3. 검사(Examination)

1. 시진(Inspection)

2. 능동관절가동범위검사(Active range of motion[ROM] testing)

3. 수동관절가동범위검사 (Passive range of motion[ROM] testing)

4. 촉진(Palpation)

5. 인대검사(Ligament Testing)

1) Lachman test 
민감도(Sensitivity): 86%(95%CI: 76~92%)
특이도(Specificity): 91%(95%CI: 79~96%)
2) Anterial draw test
민감도(Sensitivity): 62%(95%CI: 42~78%)
특이도(Specificity): 88%(95%CI: 83~92%)
3) Pivot-shift test
민감도(Sensitivity): 32%
특이도(Specificity): 98%


민감도(Sensitivity): 질병이 있는 사람을 양성으로 올바르게 평가하는 능력 
= True Positives/True Positives+False Negatives
특이도(Specificity): 질병이없는 사람을 정확하게 식별 
= True Negatives/True Negatives+False Positives

 

6. 근력검사

7. 생체역학적 검사(Biomechnical examination)

 

스포츠 재활 검사의 이해 3주차는 학교 개교기념일이라 휴강하고 4주차에 진행했습니다. 내용은 3주차와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