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재활검사의이해

[재활검사의이해] 5주차: 발과 발목의 검사와 재활

by 하이연지 2024. 4. 22.
반응형

재활검사의이해 5주차 수업 때는 발과 발목의 검사와 재활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반응형

 

재활검사의이해 5주차: 발과 발목의 검사와 재활

 

1. Foot and Ankle Anatomy

발과 발목에는26개의 뼈가 있어서 33개의관절을 형성합니다. 

 

Syndesmosis 

인대의 결합은 발목의 안정성과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구조는 세가지 주요 인대에 의해 형성됩니다.  

 

Ankle muscle

발과 발목의 움직임은 대부분 12개의 외재근(extrinsic muscle)에 의해 생성됩니다. 

 

Ankle movement

시상면에서는 저측굴곡과 배축굴곡, 횡단면에서는 내전과 외전, 관상면에서는 내번과 외번의 움직임이 있습니다. 3차원적인 움직임에서 회외는 저측굴곡과 내번과 내전, 회내에서는 배측굴곡과 외번과 외전의 움직임이 있습니다. 

 

Ankle stability by the ligament

발목의 안정성은 발목의 내측에 있는 삼각인대와 외측면에 있는 외측인대, 인대결헙들에 의해 부여됩니다.

 

Foot Arch

발에는 안쪽, 바깥쪽, 측면의 아치 세 개가 존재합니다. 

 

Windlass mechanism 

윈들라스 매카니즘은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보행 시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생체역학적 기전입니다. 족저근만은 발 뒤꿈치뼈에서 발가락 바닥까지 이어지는 조직입니다. 침팬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인간의 다른 점이 아치의 유무입니다. 

 

Foot core system

1. passive subsystem

2. active subsystem

3. neural subsystem

 

2. Lateral ankle sprain(LAS)

LAS는 급격한 방향 전환을 하거나 다른 선수의 발을 밟을 때 발생합니다. (내번+족저굴곡)

 

LAS의 분류: 1도 염좌, 2도 염좌, 3도 염좌

LAS의 치료: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로 회복 가능

 

만성발목 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LAS가 반복되거나 염좌 후 제대로 치유가 되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 재활 후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

 

거골의 골연골 병변(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반복적인 미세 외상에 의해 유발합니다. 

 

거골의 관절염(Osteoarthritis of talus)

 

전방 충돌 증후군(Anterial ankle impingement syndrome)

발목에 반복되는 미세 외상으로 "굴극"이라는추가 뼈 조직을 형성합니다. 수술적치료를 통해 골극의 제거가 필요합니다.   

 

Classification of the CAI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Functional ankle istability, FAI)은 주관적이며 기계적인 인대의 이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함을 느낍니다. FAI는 대체적으로고유수용성 감각 저하, 근력 약화 및 신경근 조절 결핍과 관련이 있습니다.   

 

기계적 발목 불안정성(Mechnical ankle instability, MAI)는 객관적인 인대 이완을 의미하며 발목의 비정상적인 병진운동(불안전성 발생)이 발생합니다. 보조기 또는 테이핑/수술적 치료가 실행됩니다. 

 

Ankle draw test

Star Excursion Balance Test(SEBT)

Y-balance test

Realiability ane Validity of SEBT

Joint position senese(JPS)

Single leg stance

figure-8 hop test

Ankle strength test

Ankle rehabilitation

 

아킬레스건부터는 다음 시간에 추가적으로 설명해주시기로 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