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손상및재활

[손상및재활] 9주차: 스포츠 재활의 목표(1)

by 하이연지 2024. 6. 12.
반응형

스포츠손상 및 재활 9주차 때는 스포츠 재활의 목표에 대해 배웠습니다. 코어 안정, 신경근 조절, 자세 안정과 균형 능력 중 코어 안정화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반응형

 

[손상및재활] 9주차: 스포츠 재활의 목표(1)

  

코어 

Core=Spinal=Trunk stabilization exercise

요부-골반-둔부 복합체, 중력 중심 위치

 

코어의 기능

운동 사슬의 어떠한 영역에서 손상이나 적응은 더 근위부 연결 쪽으로 전달되는 힘이나 에너지 부족을 원이부가 보상하여야 하므로 국소적인 문제뿐 아니라 원이부의 문제를 야기(catch-up)한다.  

기능적인 일을 할 때 적당한 안정화, 동적인 concentric, eccentric 조절 없이는 코어와 사지 사이의 이행부위가 과부하를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부상이나 조직 손상이 유발된다.

 

코어의 근육

모두 29개의 근육이 부착: 상하체를 연결

 

1. Lumbar Spine Muscles

1) Transversopinalis group

2) Erector spinae

3) Quadratus limborum(전두면에서 안정자 역할, 중둔근과 대퇴근막장근과 협력적으로 작용)

4) Latissimus Dorsi

 

2. Abdominal Muscles

1) Rectus abdominus

2) External obliques

3) internal obliques

4) Transverse abdominus

 

3. Psoas

열린 사슬 위치에서 고관절 굴곡과 외회전 발생

닫힌 사슬 위치에서 고관절 굴곡, 요추 신전, 측면 굴곡, 회전 발생

표면 척추기립근과 공동으로 요추 4~5번에서 전단응력 발생

위의 반대 작용: 심부 척추기립근, 다열근, 심부복벽 전단응력과 반대작용

 

Tightness

: 전단 응력과 압박력 증가, 중둔근, 다열근, 심부 척추기립근, 내복사근, 외복사근의 상호억제의 원인, 신전기능이상 초래

 

4. Gluteus medius

: 중둔근이 약해지면 대퇴 외전 시 요방형근과 대퇴근막장근의 협력근 우세 현상을 유발, 요추와 장경인대를 뻣뻣하게 만듦

 

5. Gluteus maximus

 

6. Hamstrings

 

이 근육들은 전체적인 운동사슬에서 안정성과 신경근 조절을 강화하기 위해
요부골반둔부 복합체의 협력적, 상호의존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코어 근육

: Local ms, short segmental ms은 주로 안정화의 기능을 수행하며, global ms은 주로 움직임의 기능을 수행

 

코어 안정화

: 정적인 안정화 뿐만 아니라 몸통 사지의 동적 움직임 중에 일어나는 코어 내부 움직임을 조절하는 능력

 

 코어 안정화 근력 평가: Double leg lowering test

심부 근육의 신경근 조절 검사: Abdominal Neuromuscular Control Test

 

코어 안정화 운동

1. 둔부와 햄스트링 근력 강화에도 중점

2. 실재 기존 운동보다 코어 안정화 운동이 더 유효하다는 메타분석 결과

3. 복횡근 활동 지연을 동반한 코어 불안정이 요통과 관련된다고 밝혀지면서 코어 안정화 운동이 각광

 

1. The Mcgill big 3 Core exercise

2. The Sahrmann Core exercise

3. Core Stabilization Training Program

 Level 1. Stabilization

Level 2. Stabilization ane Strength

Level 3. Integrated Stabilization Strength

Level 4. Explosive Stabilization

 

Abdominal hollowing

: 할로잉 기법시 복횡근과 같은심복부 근육의 활성화가 증가

 

Abdominal Bracing

: 수의적으로 복근의 동시 수축을 시키는 복부 브레이싱 기법은 척추 안정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 

 

Functional training

: 기능적 운동의 핵심은 근육의 근력이아닌 지구력을 키우는 것이고, 허리를 포함한 우리 몸을 움직이는 방법, 즉 운동 조절 방법을 정확히 익히는 것이다. 일상생활 속에 허리를더 손상시킬 수있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관건, 허리를 보호하는 방법을 익히려면, 중립척추를 유지하는 운동을 선별하여 진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