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손상 및 재활 수업 5주차 때는 스포츠 손상과 치유 과정에 대해 배웠습니다.
손상 후 염증과정과 치유과정
외상 →세로토닌, 히스타민 브라디키닌, 프로스타글라딘, 화학물질 방출
↑ ↑
↓ ↑ (비만세포, 대식세포 및 과립세포는 외상부위로 침입)
세포반응 →↑
↓
증식(재생)단계: 섬유아 세포는 콜라겐 생산을 유도
↓
재형성단계: 기질이 추가되고 콜라겐은 최종 형태로 되어짐
염증 증상
1) 통증: 통증 수용기, 모세혈관 손상, 산소 영양분 부족
2) 부종: 출열, 손상된 세포, 단백질 증가
3) 발열, 발적: 혈액 공급, 화학요소, 국부온도(이 현상은 '치유과정'이 시작된 것을 나타낸다.)
스포츠 손상의 진행 과정
1) 세포반응: 무산소 조건에서도 생존 가능한 세포들이 상해부위로 침입
비만세포-히스타민, 세로토닌 분비, 대식세포-죽은 조직 제거하는 식세포 역할, 과립세포-프로스타글라딘 분비
혈관 확장을 유발하고, 성장인자, 부종제거, 체액성 시스템을 자극
PGE1: 국부지역에 혈관 삼투압지속 - 프로스타글라딘 - PGE2: 백혈구 유도
2) 재생단계(손상조직의 재생기전): 덜 분화된 조직이나 콜라겐 형태로 생성
과립세포와 대식세포: 부종(찌꺼기: 섬유단백플러그), 무산소증 세포 제거
모세혈관의 생성-영양분 공급, 섬유아세포-급속한 혈관 성장과 육아조직의 성장
2주 후 치유 조직에 기질이 보강되어 강도가 높아지고 분화될 콜라겐의 형태를 결정
3) 재형성단계: 중요 조직 파괴 시 3개월~1년, 제한된 운동 필요 - 기능 손실 방지와 관절의 유연성 확보
섬유아세포 -근섬유아세포로 → 상처부위 수축 → 흉터가 작아짐 → 관절이 영향을 받으면 동작 손실
세포 변화: 모세 혈관의 수, 섬유아 세포, 근육섬유모세포 → 조직 성장 촉진
지혈 및 염증 단계: 첫 단계인 염증기에는 혈소판이 엉겨 붙어 출혈을 막는 지혈작용과 백혈구 등 염증 세포가 모여들어 외부에서 침입한 균과 죽은 조직으로 제거하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증식성 단계: 백혈구가 분비한 성장인자의 자극에 의해 상처주의의 상피세포가 이동, 증식하여 손상된 부위를 덮고 진피층의 섬유세포가 콜라겐과 일라스틴 등의 섬유질을 생산하여 육아조직이라는 새살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성숙 단계: 염증 세포가 사라지고 임시로 생성된 육아조직이 원래의 피부조직에 가깝게 성숙되는 최단계입니다.
치유 과정의 이해
염증 반응기, 섬유조직 형성기, 성숙-재형성기(서로 겹쳐서 나타나기 때문에 시작점과 종점은 알 수 없다.)
1) 염증 반응기: 조직 상해 시 즉시 치유과정 진행
2) 섬유모세포 회복기: 상해 후 4~6주 지속
3) 상숙-재형성기: 장기 치유 과정
치유 저해 요소
1) 상해의 정도: 미세열상 vs 거대열상
2) 부종
3) 출열
4) 혈관공급불량
5) 근육경련
6) 위축
7) 코티코스테로이드
8) 켈로이드와 비대성 반흔
9) 감염
10) 습도, 기후, 산소압
11) 건강 및 나이, 영양
재활 운동 과정
재활 운동은 조직의 상태에 따라 실시한다.
'대학원 > 1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상및재활] 7주차: 중간고사 (2) | 2024.06.11 |
---|---|
[손상및재활] 6주차: 스포츠손상의 평가 방법 (2) | 2024.06.11 |
[손상및재활] 4주차: 스포츠손상의 종류 및 기전 (4) | 2024.06.10 |
[손상및재활] 3주차: 스포츠 재활의 개요 및 목표 (2) | 2024.06.09 |
[교육학] 15주차: 기말고사 (1) | 2024.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