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교육학

[교육학] 2주차: 스포츠교육학 이해하기

by 하이연지 2024. 3. 13.
반응형

스포츠교육학 이 주차에는 스포츠 교육학에 대한 이해에 대해 배웠습니다. 강의계획서에는 '자기 객관화 및 체육교육에 대한 자신의 경험에 대해 생각하기'를 통한 스포츠교육학 이해로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교육학 2주차: 스포츠 교육학 이해하기

 

스포츠 교육 경험 '다시 생각하기'

저번에 체육교육에 관한 경험을 키워드로 찾아오라는 과제를 내주셨습니다. 저는 1주 차 블로그 글에 작성한 것과 같이 정리를 해갔습니다. 그중에서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을 토대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저는 긍정적인 경험 중에서 '전문성'이라는 키워드로 발표를 했습니다. 다른 분들은 긍정적인 경험에서는 강인함과 리더십을 말씀하셨고 부정적인 경험에서는 체벌, 부상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스포츠 교육학 이해하기

1-1 스포츠 교육의 역사: 19세기

1) 체조 중심의 체육교육

- 독일, 스웨덴, 덴마크(목적: 군사육성): 재국주의, 국가주의, 개인적 발달(체력증진), 집단적 단결(애국심)

- 미국(목적: 건강한 시민 만들기)

2) 여성차별

- 이상적인 남성상(강함, 활발함)

- 여성(순종, 순결)

3) 종교적 목적이 개발, 유지되는 중요 수단(강건한 기독교주의)

- 에머슨 목사(훌륭한 일을 하기 위해 최고의 건강상태, 체육 추천)

- 남자만 그리고 종교 스포츠, 건강을 하나로 통합

4) 아마ㅜ어리즘과 페어플레이 정신

2-1 스포츠 교육의 목적: 신체의 교육(education of the physical)

- 신체의 발달과 건강을 위한 '신체 기능 교육'을 위한 교과

- '신체적인 것'에 국한시켜 외적인 건강과 기능 발달 차원 

- 20C 초 유럽의 체육은 독일의 Jahn, 스웨덴의 Ling의 체조시스템이 주된 내용

- '개인적 발달'을 목표이지만 궁극적으로 민족주의 바탕, 집단절 단결 강조, 국민 양성

 

1-2 스포츠 교육의 역사: 신(new)체육사상(19세기 말~20세기 초)

 

1. 진보주의에 영향을 미친 유럽의 교육사상

루소, 바세도우, 페스탈로찌, 프뢰벨

2. 존 듀이: 진보주의 기본 원리로 놀이 추구

 

시작: 토마스 우드, 체계화: 헤더링턴, 끝: 윌리엄스

교육의 정당화(체육 필수 교과목으로 확립), 진보주의 교육 이론

 

-> 체조 중심 - 신체를 통한 교육으로 변경

-> 전인(지적, 신체적, 사회적, 도덕적) 발달 도모

 

 

2-2 스포츠교육의 목적: 신체를 통한 교육(education for physical)

신체적, 심동적, 정의적, 인지적 교육 

1. Thomas Wood '체조 중심의 체육'으로부터 '신체를통한 체육'의 패러다임 전환 

2. 20C John Dewey의 '진보주의 교육 이론'의 철학적 바탕이 됨(신체와 정신은 분리x)

3. 놀이, 게임, 스포츠, 레크레이션과 같은 활동이 교육 내용으로 체택되기 시작함

4. Clark Hetherington 신체적 교육, 심동적 교육, 정의적 교육, 인지적 교육을 강조

5. 건강, 여가선용, 윤리적 인격의 3가지가 체육교육에 가장 적합한 목적으로 여김 

 

Cf) 헤더링턴의 체육의 목표(Clark Hethrington)

1. 신체적 교육(Organic education)

2. 심동적 교육(Psychomotor education)

3. 정의적 교육(Character education)

4. 인지적 교육(intellectual edcation)

 

1-3 1970년대 이후 급속 발달 학문

1. 운동생리학: 1960년대 중반 체육 학문화 운동 발생 

2. 운동역학: 헨리(Henry)는 체육학의 존재를 주장함 

3. 운동학습: 중다학문적 -> 교차학문적 -> 학제적학문

4. 스포츠사회학: 스포츠 교육의 과학화와 영역의 확장

1-4 1950년대 이후 

1. 휴먼 무브먼트, 움직임 교육(1930, 1940년대)

1) 체육 학문화 운동의 이론적 모티프 제공

2) 움직임의 보편적 원리의 학문적 개념이나 과학적 원리 바탕

3) 교육무용, 교육체조, 교육게임 탐색, 학습 중점

2. 1960년대 인간주의 스포츠(체육교육)

1) 1960~1970년대 '인간주의 철학 사조들' 영향

2) 자아발달, 열린교육, 정서요육 중시: 경쟁 베제

3) Donalad Hellison(1973) '인간주의적 체육교육'

: 학교체육 1차적 목표 인성발달, 자기표현력 함양 대인관계 향상 주장

3. 1970년대 이후 놀이교육과 스포츠교육

1) 놀이라는 문화 활동의 내재적 가치 강조

2) Daryl Siedentop의 '스포츠교육 모형'

: 스포츠의 기능, 지식, 태도를 교육시켜 아이들 스스로 스포츠를

즐기고, 참여하며 건전한 스포츠 문화 형성에 공헌하는 사람이 되게 하는 것  

4. 1990년대 이후 신체운동학

1) Hoffman(2005): 신체운동학은 신체활동을 다루는 학문 영역이자 지식체계

2) 오늘날의 스포츠교육과 관계가 깊으며, 스포츼교육의 목적과 내용확장에 기여

 

스포츠 교육학의 정의: Sidentop(1994)

티칭(teaching)과 코칭(coaching)의 과정, 결과 그리고 체력과 체육 및 스포츠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로 정의함.
학교, 지역사회에 있어 스포츠, 체력 그리고 체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과정 및 결과에 관계하는 광범위한 분야.

티칭: 학습자에게 필요한 지식, 규칙, 기술을 전파하는 것
코칭: 목적을 갖고 있는 사람을 목적지로 옮기는 것을 의미

구체적으로말하면, 학교, 지역사회, 및 클럽에있어 스포츠, 체력
그리고 체육 프로그램의 내용, 과정 및 결과에 관계하는 광범위한 분야임.  

 

스포츠 교육학의 연구 영역 

1) 수업(teaching and coaching)

2) 교육과정(curriculum)

3) 교사교육(teacher and coach education)

 

체육 및 스포츠의 가치

1) 신체적 가치: 인간의 생리적 기능 향상과 근육조직의 강화와 운동수행 능력 향상

2) 심리적 가치: 인간의 근원적 경향을 스포츠를 통해 인성의 정화를 꾀할 수 있음 

3) 사회적 가치: 사회생활에서의 필요한 요소들을 배울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인격 형성

4) 인지발달: 신체에 대해 가르치는 것은 수학과 과학만큼 중요하다(어니스트 윈더 박사)

5) 태도발달: 긍정적인 참여와 올바른 인식을 통해 바람직한 사회적 가치를 이해함

 

교육 경험에 대해 서로 겪었던 경험들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고 교수님께서는 그에 대해 수업을 진행하셨습니다. 그리고 스포츠 교육학의 정의, 목적, 가치와 역사 등에 대한 설명으로 스포츠 교육학을 이해하게끔 수업해 주셨습니다.

 

이번 기회로 스포츠 교육학의 역사와 스포츠 교육학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제 3주차부터 7주차까지는 학교체육과 전문체육, 생활체육에 관련된 이슈 및 연구동향에 대한 토론을 할 예정입니다. 

 

 

 

 

 

 

댓글